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최저수수료
- 대여계좌 제일증권
- 대여계좌
- 선물옵션기초
- 선물옵션
- 디지털옵션
- 선물거래
- MTS
- 크루드오일선물
- 항셍
- 제일증권
- 크루드오일
- 홍콩항셍
- CFD
- HTS프로그램
- 선물옵션초보
- 선물투자란
- 선물옵션투자방법
- 해외선물
- 증거금
- 오일선물
- 야간선물매매
- 금
- 선물옵션전략
- 선물거래방법
- 나스닥
- 이원옵션
- 대여계좌이유
- 국내선물매매
- 안전한 대여계좌업체
- Today
- Total
재테크 가이드
‘수수료 폭탄’ 배달의 민족은 정말 배신의 민족인가 본문
배달의민족(배민)을 둘러싼 논란이 잦아들지 않고 있다. 광고 수수료를 정률제로 적용하기로 한 배민의 서비스 전환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어려운 소상공인들에게 ‘불난 집에 기름 부은 격’으로 해석되고 있다.
배민은 대책 마련을 약속했지만 ‘배신의 민족’이라는 비판 여론은 여전히 거세다. 배민은 ‘배신’의 아이콘으로 보기에 합당한가. 연일 계속 되는 비판 여론을 뒤집을 만큼 배민 측의 설득력 있는 해명은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배민의 수익은 ‘광고 수수료’
배민의 광고 수수료 논란을 객관적으로 판단해보려면 배민이 어떻게 수익을 내고 운영을 하는지부터 알아볼 필요가 있겠다. 배민의 비즈니스 모델은 굉장히 단순하다.
‘음식점주-배달대행업체-소비자’를 연결시켜주는 온라인 플랫폼인 배민의 수익은 광고 수수료를 통해서만 나온다. 지금 배민을 둘러싼 갑론을박은 한 기업의 유일한 수익 방식에 대해 한 마디씩 보태고 있는 형국인 셈이다. 이 ‘연결’에 비용(수수료)을 지불하는 플랫폼 시장 자체에 대한 회의감도 적잖이 제기되고 있다.
배민은 그동안 얼마나 돈을 벌어왔을까. 2010년 6월 사업을 시작한 배민은 2011년 3월 사업자를 낸 뒤 2016년에야 처음으로 영업이익을 냈다. 2016년 처음 수익을 낼 때까지 사실상 투자금으로 운영을 이어왔던 셈이다.
3년 간 착실하게 흑자를 쌓아가던 배민은 지난해 다시 적자(영업손실 364억2973만원)를 냈다. 지난해 요기요·배달통을 운영하는 독일계 딜리버리히어로(DH)가 1000억원을 마케팅에 투입하면서 배민도 공격적인 마케팅 경쟁에 뛰어든 결과다.
광고 수수료 개편, 왜 문제인가…‘기업가 정신’ 부재
적자 상황을 뒤집기 위해 수익성 개선에 나서는 것 자체를 문제 삼을 수는 없다. 하지만 ‘배달 플랫폼 시장’의 특수성을 감안하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배민의 주 고객은 소상공인이고, 상당수 열악한 자영업자들이 배민과 동반자적 관계에 놓여 있다. 배민의 수수료 정책에 따라 영세 자영업자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사업 성패가 갈릴 수 있다. 독점적인 사업자인 배민이 수수료 인상으로 분위기를 몰고 가면 시장 자체가 왜곡될 수 있다. 배민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에 ‘기업가 정신’과 그에 따른 책임감이 요구되는 까닭이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8일 “요즘의 소비 환경에서는 기업이 소비자에게 어떤 가치를 줄 수 있느냐는 마인드가 중요하다”며 “(이번 수수료 체계 전환은) 이런 마인드가 부족해서 나온 것”이라고 지적했다.
수수료 체계 개편, ‘수수료 인상’ 판 깔기인가
배민의 수수료 체계 개편은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 상황일까. 그렇지 않다는 여론이 우세하다. 배민 측은 계획에 따른 수수료 체계 개편으로 해명했지만, DH 합병 이후를 내다보고 수수료 인상 수순을 밟은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DH에 합병된 이후 요기요·배달통과 수익성 경쟁을 하기 위해 수수료 인상에 포석을 깐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된다.
배민은 지난해 광고 하나 당 8만원씩 받는 정액제(부과세 포함 8만8000원)인 ‘울트라 콜’과 건당 6.8%(부과세 포함 7.48%)를 적용하는 ‘오픈리스트’ 두 가지를 운영해 왔다.
광고 상단에 노출되는 울트라 콜의 이른바 ‘깃발 꽂기’가 기업형 사업자들에게 유리하다는 비판이 계속되자 배민은 지난해 말 ‘깃발 꽂기’를 3개로 제한하고, 영세 사업자들에게 유리한 오픈리스트의 수수료율을 2020년 4월부터 5.8%로 1% 포인트 내리겠다고 지난해 12월 공식화했다.
계획된 작업이었다고 해도 비상시국을 읽어내지 못 한 점, 동반자인 소상공인들의 상황을 면밀히 파악하지 못 한 점에 대해 비판 또한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일부 영세 자영업자들은 수수료율 5.8%(부과세 포함 6.38%) 오픈서비스 도입에 환영하는 입장이다. 배민 대신 다른 플랫폼으로 완전히 갈아타는 게 간단한 일이 아니고, 직접 배달까지 감당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오픈서비스로 수수료 규모가 적어지는 경우는 절반 수준에 이른다. 배민이 내놓을 새로운 대책은 이 규모를 확대하는 정도가 될 수 있다.
‘배신의 민족’을 대항할 공공 배달앱이 대안인가
우아한형제들이 김범준 대표 명의로 사과문을 내고 “즉각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음에도 비판이 끊이지 않는 데는 우아한형제들이 DH에 매각된 데 따른 배신감도 크게 작용한다.
이렇게 되면 요기요, 배달통에 이어 배민까지 DH가 국내 배달 앱 시장을 100% 가까이 차지하게 된다. 배민이 DH에 400억 달러(약 4조7500억원)를 받고, 10조원이 넘는 국내 배달앱 시장을 DH에 넘긴 것으로 보는 여론이 상당하다.
배민은 시장을 독식한 DH가 수수료에서 폭리를 취하고 자영업자와 소비자들이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우려를 불식시키지 못 하고 있다.
독과점에 대해서는 섣불리 단정짓기 어렵다. 독과점이라 하면 진입 장벽이 높아야 하는데, 배달 앱 시장은 누구든 뛰어들 수 있다. 시장 진입 장벽이 낮기 때문에 배민이 독점적 지위를 함부로 휘두를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하지만 DH가 시장을 선점해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 급변하기는 어렵다는 비판도 만만찮다.
근본적으로는 우리나라 자영업의 비중이 너무 높은 게 문제이고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나 정치권이 나서서 공공 배달앱을 만들 게 아니라 시장이 건강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적절한 견제와 감시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성훈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무조건 비판하고 수수료를 낮추라고 할 게 아니라 배민의 수수료가 자영업자에게 고통스러울 정도로 폭리를 취하고 있는가를 봐야 한다”며 “사실 자영업의 공급 과잉 상황이 근본적인 문제”라고 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자영업자 비중은 25.1%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5.3%보다 10% 포인트가량 높은 수치다.
이 교수는 “배민과 DH의 합병은 입성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로도 볼 수 있다”며 “국민 정서상 합병에 대한 거부감이 크겠으나 글로벌 시장 경쟁을 감안하면 달리 생각할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은 '배민 라이더스'와의 갈등도 빚고 있다. 배민 라이더스는 배민을 통한 배달의 약 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우아한형제들은 배민 라이더스의 배달료를 놓고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