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가이드

“60년 원전이 주력”이라는 文… 원전 외면하는 ‘한전공대’ 본문

카테고리 없음

“60년 원전이 주력”이라는 文… 원전 외면하는 ‘한전공대’

오팔86 2022. 3. 3. 23:23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에서 출발한 한국에너지공과대(KENTECH)가 지난 2일 개교한 가운데, 원자력 분야 교육과정은 아예 운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너지공과대는 한국전력(24,100원 ▲ 950 4.1%)이 전기요금에서 떼어내 마련하는 전력산업기반기금으로 운영돼 일명 ‘한전공대’로 불린다. 탈(脫)원전 정책을 추진한 문 대통령이 원전을 ‘60년 주력 기저전원’이라고 언급한 것이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듯이, 에너지 특화 대학인 한국에너지공대가 원자력 관련 인재를 육성하지 않는 것도 설립 취지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한국에너지공대에 따르면 현재 임용된 교수는 총 48명이다. 과정별로는 ▲에너지 AI 4명 ▲에너지 신소재 10명 ▲수소 에너지 10명 ▲차세대 그리드 5명 ▲환경·기후기술 10명 ▲교육혁신 9명 등이다. 이 중에서 원자력 전문가는 없다. 환경·기후기술 과정 내에 핵융합 전문 교수가 1명 채용됐지만, 핵융합은 태양이 쉬지 않고 타오르는 원리를 이용하는 기술로 지금의 원전과는 다른 분야라는 것이 학계의 시각이다.

 

한국에너지공대에 향후 원자력 관련 교육과정이 신설될 가능성도 희박하다. 학교 측은 교수진을 올해까지 60명, 2025년까지 100명으로 확대할 계획인데, 아직 어느 분야에 몇 명의 교수를 충원할지는 확정되지 않았다. 대학 관계자는 “현재 에너지 단일 학부, 5개 트랙(과정)으로 구성돼 있는데 다른 트랙을 개설하는 것은 필요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일 열린 제1회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입학식 및 비전 선포식에서 영상 축사를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원자력 업계는 한국에너지공대가 ‘에너지 특화 대학’을 표방하면서 의도적으로 원자력 교육을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국내 에너지 현실보다는 정부의 탈(脫)원전 기조에 따라 교육과정을 설계했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원전이 지속 운영되는 향후 60여 년 동안은 원전을 주력 기저 전원으로서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며 “원전에 있어 세계적인 선도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얼핏 보면 탈원전을 뒤집는 발언 같지만, 원전의 위험성과 원전 수명 연장 금지 등을 재차 강조하며 탈원전 정책을 유지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익명을 요구한 원자력 업계 관계자는 “문 대통령은 원전 건설 백지화, 계속운전 금지 등을 그대로 두고 원전이 주력 기저 전원이라는 앞뒤 안맞는 얘기를 했다”며 “한국에너지공대가 에너지 관련 인재를 육성한다면서 원자력은 쏙 빼놓는 것 역시 대통령 말처럼 논리적으로 설명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 또다른 원자력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원자력 관련 학과의 인기가 떨어지는 등 인재 양성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며 “아무리 탈원전 정부 하에서 탄생한 대학이라 해도, 현 에너지 시장 내 원전의 중요성을 고려했을 때 원자력 관련 교육과정이 없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라고 했다.

 

원자력 인재 풀은 현 정부 5년동안 크게 쪼그라들었다. 한국원자력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총 17곳의 원자력학과에서 학·석·박사 신입생은 2016년 802명에서 2020년 524명으로 34.7% 감소했다. 신입생 감소로 원자력 전공 재학생은 같은 기간 2543명에서 2190명으로 13.9% 줄었다. 반면 에너지원별 전체 발전량에서 원전 비중은 2017년 26.8%에서 27.4%로 늘어났다. 원전과 석탄발전을 줄이고 그 자리를 신재생에너지와 값비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으로 채우려 했지만 역부족이었던 셈이다.

 

한국에너지공대가 현재 운영하는 5개 교육과정 역시 현실성이 부족해 기업 주도 대학과는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에너지 관련 교수는 “한국에너지공대는 당장 국민 에너지 생활에 보탬이 되는 인재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며 “아직 완성되지 않은 첨단 기술은 일반 대학에 맡기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또다른 교수 역시 “새로운 에너지 조류를 반영해 교육과정을 설계한 듯 한데, 화학, 전자 등 에너지 근본을 이루는 분야나 현재 에너지 이해와는 너무 동떨어져 있다”며 “현실 에너지와 균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omments